반응형
1. 증자의 종류
유상증자 : 자본금을 늘릴 때(즉, 주식 수를 늘릴 때) 현금이나 현물(토지, 건물 등)을 받고 증자하는 것.
무상증자 : 주주에 의한 새로운 자본금 납입 없이 재무상태표의 자본항목을 변동시켜 자본금을 늘리는 것.
2. 유상증자 방식
주주배정방식, 일반공모방식, 제3자배정방식
주주배정방식 : 기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주어 돈을 납입시켜 증자하는 방법.
일반공모방식 : 일반 대중에게 기업공개를 하는 것처럼 주식을 공모하는 방법.
제3자배정방식 : 이해관계가 있거나 특수한 제3자를 정해 이를 대상으로 증자하는 방법.
유상증자 효과
유상증자는 증자의 목적에 따라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서 시설 확충이나 M&A 등 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유상증자라면 주가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가능성이 크지만 운영자금이나 채무 상환의 목적으로 유상증자라면 주가에 부정적인 작용을 합니다.
자본잠식 상태인 회사가 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본잠식 상태 : 기업의 적자 누적으로 인해 잉여금이 마이너스가 되면서 자본이 마이너스되는 상태, 상장폐지 위험)
유상증자 사례
자본확충 및 시설투자 목적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했던 포스코케미칼은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자본잠식상태 수준인 두산중공업은 26일 유상증자 결정 후 오늘(30일)까지 3영업일 연속 하락중입니다.
3. 무상증자 방식
자본잉여금 항목의 주식발행 초과금을 자본금 항목으로 집어넣는 방법.
기업의 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바꾸는 방법.
무상증자 효과
주주들에게 대가 없이 추가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기업에게는 큰 자본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하지만 주식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시중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증가해 거래량이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다줍니다.
무상증자의 경우 대부분 발표 이후 급등 후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4. 총평
유상증자 : 시설확충이나 M&A 등의 목적으로 유상증자를 할 경우 주가에 호재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운영자금이나 채무 상환이 목적일 경우 주가에 악영향을 줍니다.
무상증자 : 대체로 공짜로 주식을 주주들에게 주기 때문에 호재로 작용합니다.
반응형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코스피, 코스닥란 무엇인가?? 쉽고 완벽하게 이해하기! (2) | 2022.01.23 |
---|---|
[경제용어] 기울어진 운동장... 공매도에 대해서 아시나요? (26) | 2021.12.05 |
[경제용어]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 기업은 왜 분할을 할까요? (2) | 2021.12.01 |
[MSCI지수] 경제강국인 한국은 왜 신흥국시장지수에 편입되어 있을까?? (4) | 2021.11.28 |
[경제용어] 네마녀의 날은 무엇이고 왜 이날 증시가 하락할까요? (0) | 2021.11.2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