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검은 목요일 네 마녀의 날을 아시나요?
네마녀의 날의 유래는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 사건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대폭락 사건의 이유로는 1920년대 후반 제조업과 무역의 호황으로
주식 호황세가 이어지면서 대출을 끼고 신용매매가 성행할 정도로
거품경제가 만들어졌었습니다.
결국 거품이 빠지면서 대공황이 오게 되었죠.
대공황은 1929~1932년까지 이어졌으며
그 당시 다우 존스 산업 평균지수는
1929년 10월 24일 (목) 299.47에서
1932년 7월 7일(목) 41.81로 마감하며
기간 대비 86%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네 마녀의 날은 4명의 마녀의 날이라고 불리며
주가지수의 선물, 옵션
개별주식 선물, 옵션
4가지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겹치는 날을 의미합니다.
1가지 만기일만 와도 주가에 등락이 있는데
4가지 만기일이 동시에 오기 때문에
주가 변동의 가장 심한 날이라
마치 마녀가 요술을 부린다고 하여
네 마녀의 날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한국 기준으로
매년 3,6,9,12월 3개월마다 둘째 주 목요일에
네마녀의 날이 찾아옵니다.
올해 9월 9일 네 마녀의 날인 경우 시총 상위 10 종목 모두 하락하는 등
네 마녀의 날의 모습을 보여 줬었습니다.
네 마녀의 날 꼭 기억해서 이날의 기점으로 매매를 하시는데
주의를 가지길 바랍니다.
반응형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코스피, 코스닥란 무엇인가?? 쉽고 완벽하게 이해하기! (2) | 2022.01.23 |
---|---|
[경제용어] 기울어진 운동장... 공매도에 대해서 아시나요? (26) | 2021.12.05 |
[경제용어]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 기업은 왜 분할을 할까요? (2) | 2021.12.01 |
[유상증자,무상증자] 유상증자,무상증자를 하면 왜 주가는 급등, 급락 할까요? (9) | 2021.11.30 |
[MSCI지수] 경제강국인 한국은 왜 신흥국시장지수에 편입되어 있을까?? (4) | 2021.11.2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