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미크론은 증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게 될까요??
델타 변이 당시 국내 증시와 미국 증시 지수 등락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 증시의 악재로 떠올랐던 지난 7~9월 코스피지수는 고점 대비 저점까지 7.98% 빠졌다. 같은 기간 미국의 S&P500지수는 6.7% 하락했다.
변이 바이러스 발생시 패턴
여행주 등 리오프닝주를 중심으로 낙폭을 키웠고, 백신 관련주와 진단키트 주는 크게 올랐다. 지난 26일 미 증시에서도 로얄캐리비안 (NYSE:RCL)(-13.22%) 카니발 (NYSE:CCL)(-10.96%) 등 크루즈 업종과 익스피디아 (NASDAQ:EXPE)(-99.48%) 부킹닷컴(-7.21%) 등 여행주를 중심으로 매도가 쏟아졌다.
오미크론의 특징
오미크론 바이러스는 전파력 등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어 글로벌 증시가 최소 2주간 큰 변동성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 (NASDAQ:BNTX) 등은 “오미크론 변이 연구에 들어갔다”며 “2주 안에 많은 데이터가 나올 것”이라고 했다.
대응전략
현시점에서 매도는 실익이 없다는 조언도 나온다. 유가증권시장의 12개월 선행 PER이 10배 수준으로 내려앉았기 때문이다. PER 10배는 2007년 이후 유가증권시장의 장기 평균값이다. 델타 변이로 증시가 큰 타격을 받았던 지난여름 유가증권시장의 12개월 선행 PER은 12~13배 수준이었다.
반응형
'국내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한국,중국 공동 ETF 출시! (10) | 2021.12.09 |
---|---|
[배당금] 배당주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배당수익률 높은 주식 추천! (17) | 2021.12.08 |
[국내증시] 국내증시는 도대체 오늘 왜 떨어졌나??? (3) | 2021.11.30 |
[배당금] 작년 총 주당 1,932원 배당금을 지원한 삼성전자! 올해도 특별 배당금을 지급할까? (2) | 2021.11.30 |
[국민연금] 국민연금 9월말 3분기 기금운영 실적 발표! 국내비중(18.4%) 낮아지고 해외비중(26.4%) 높아지고 (10) | 2021.11.30 |
최근댓글